동문소식

동문소식

조회 수 1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캡처.JPG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중에서 

 

장영희 작가는

불꽃같은  삶을 살다가
2009년 만 56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故 장영희 교수의 이며,

인터넷에 자주 인용되는 글귀 (내가 살아보니까) 중 일부로 소개합니다.

 

1952년 생인 그녀는  생후 1년 만에  두 다리를 쓰지 못하는 
소아마비에 걸려서  평생 비장애인들의 차별과 싸워야 했습니다.

입학시험 조차 보지 못하게 하는 대학들의 차별의 벽에 막힌 
그녀를 위해 부친이신  故 장왕록 서울대 영문과 명예교수께서 던진 질문에 

서강대 영문학과 학과장 브루닉 신부는  다음과 같이 답변했습니다. 

 

“무슨 그런  이상한 질문이 있습니까? 
 시험을 머리로 보는 것이지, 
 다리로 보나요?  장애인이라고 해서
 시험보지 말라는 법이  어디 있습니까?"

 

서강대에서 학사 석사 과정을 마친 그녀에게 국내 대학들은 다시 한번
박사과정 입학 허가를 꺼렸습니다.
 
그녀는 
결국 미국으로 건너가 1985년 뉴욕 주립대학에서 
영문학 박사를 취득합니다.
그 해 귀국한 그녀는 세상을 떠날 때까지 24년 간 
모교인 서강대학교의 영문학과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안타깝게도 그녀의 시련은 장애인으로서의 생활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2001년에는 유방암, 2004년에는 척추암이
그녀를 엄습했습니다.

굳은 의지로 이를 모두 이겨낸 그녀는 2008년 다시 찾아온 간암은 
끝내 극복하지 못하고 2009년 5월 생을 마감했습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인 장영희 교수는 


자신을 걱정하는 사람들에게 

"하느님은  다시 일어서는 법을
 가르치기 위해
 넘어 뜨린다고 나는 믿는다" 
 라는 믿음으로 투병의 와중에도 
희망을 버리지 않으면서 
여러 권의 책을 냈습니다. 

 인터넷에 
 자주 등장하는 글 
“내가 살아보니까”는
  2009년 그녀가   병상에서 쓴 마지막 책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의  한 구절입니다.

 

내가 살아보니까 ~
사람들은 남의 삶에 
그다지 관심이 많지 않다.
그래서 남을 쳐다볼 때는
부러워서든, 불쌍해서든
그저 호기심이나 
구경 차원을 넘지 않더라.

내가
살아보니까~
정말이지 
명품 핸드백을 들고 다니든, 
비닐봉지를 들고 다니든
중요한 것은 
그 내용물이더라.

내가 
살아보니까 ~
남들의 가치 기준에 따라
내 목표를 세우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고, 
나를 남과 비교하는 것이
얼마나 시간 낭비고,
그렇게 함으로써 
내 가치를 깍아 내리는 것이
바보 같은 짓인 줄 알겠더라.

내가
살아보니까 ~
결국 중요한 것은
껍데기가 아니고 알맹이더라.
겉모습이 아니라 마음이더라. 
예쁘고 잘 생긴 사람은
T.V에서 보거나 
거리에서 구경하면 되고
내 실속 차리는 것이 
더 중요하더라.
재미있게 공부해서 실력쌓고, 
진지하게 놀아서 경험쌓고, 
진정으로 남을 대해 
덕을 쌓는것이 
결국 내 실속이더라.

내가 
살아보니까 ~
내가 주는 친절과 사랑은
밑지는 적이 없더라.
소중한 사람을 만나는 것은 
한 시간이 걸리고, 
그를 사랑하게 되는 것은
하루가 걸리지만 
그를 잊어버리는 것은
평생이 걸린다는 말 이더라.

내가
살아보니까 ~
남의 마음속에 
좋은 추억으로 남는 것만큼 
보장된 투자는 없더라.

 

그래서 나는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을 제목으로 정했다. 생각해 보니 나는 지금 더도 말고 덜도 말고 기적을 원한다. 암에 걸리면 죽을 확률이 더 크고, 확률에 위배되는 것은 기적이기 때문이다. (…) 나의 독자들과 삶의 기적을 나누고 싶다. 우리가 살아가는 하루하루가 기적이고, 나는 지금 내 생활에서 그것이 진정 기적이라는 것을 잘 안다. 그래서 난 이 책이 오롯이 기적의 책이 되었으면 한다. ---「나, 비가 되고 싶어」중에서

맞다. 지난 3년간 내가 살아온 나날은 어쩌면 기적인지도 모른다. 힘들어서, 아파서, 너무 짐이 무거워서 어떻게 살까 늘 노심초사했고 고통의 나날이 끝나지 않을 것 같았는데, 결국은 하루하루를 성실하게, 열심히 살며 잘 이겨 냈다. 그리고 이제 그런 내공의 힘으로 더욱 아름다운 기적을 만들어갈 것이다. 내 옆을 지켜 주는 사랑하는 사람들, 그리고 다시 만난 독자들과 같은 배를 타고 삶의 그 많은 기쁨을 누리기 위하여…….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중에서

“그렇게 야단법석 떨지 마라. 애들은 뼈만 추리면 산다.”
아무리 운명이 뒤통수를 쳐서 살을 다 깎아 먹고 뼈만 남는다 해도 울지 마라, 기본만 있으면 다시 일어날 수 있다. 살이 아프다고 징징거리는 시간에 차라리 뼈나 제대로 추려라. 그게 살 길이다.
그것은 삶에 대한 의연함과 용기, 당당함과 인내의 힘이자 바로 희망의 힘이다. 그것이 바로 이제껏 질곡의 삶을 꿋꿋하고 아름답게 살아오신 어머니의 힘인 것이다. 그리고 어쩌면 어머니가 무언으로 일생 동안 내게 하신 말씀이었고, 내 성실하게 배운, 은연중에 ‘내게 힘이 된 한마디 말’이었을 것이다. ---「뼈만 추리면 산다」중에서

지난번보다 훨씬 강도 높은 항암제를 처음 맞는 날, 난 무서웠다. ‘아드레마이신’이라는 정식 이름보다 ‘빨간약’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항암제. (…) 순간 나는 침대가 흔들린다고 느꼈다. 악착같이 침대 난간을 꼭 붙잡았다. 마치 누군가 이 지구에서 나를 밀어내듯, 어디 흔들어 보라지, 내가 떨어지나, 난 완강하게 버텼다.
이 세상에서 나는 그다지 잘나지도 못나지도 않은 평균적인 삶을 살았으니 무슨 일이 있어도 그다지 길지도 짧지도 않은 평균 수명은 채우고 가리라. 종족 보존의 의무도 못 지켜 닮은 꼴 자식 하나도 남겨두지 못했는데, 악착같이 장영희의 흔적을 더 남기고 가리라. ‘나중에 돈 많이 벌면 그때……’ 생각하고 좋은 일 하나 못했는데 손톱만큼이라도 장영희가 기억될 수 있는 좋은 흔적 만들리라. ---「희망을 너무 크게 말했나」중에서

나는 대답했다. 아니, 비참하지 않다고. 밑져야 본전이라고. 희망의 노래를 부르든 안 부르든 어차피 물은 차오를 것이고, 그럴 바엔 노래를 부르는 게 낫다고. 갑자기 물때가 바뀌어 물이 빠질 수도 있고 소녀 머리 위로 지나가던 헬리콥터가 소녀를 구해 줄 수도 있다고. 그리고 희망의 힘이 생명을 연장시킬 수 있듯이 분명 희망은 운명도 뒤바꿀 수 있을 만큼 위대한 힘이라고.
그 말은 어쩌면 그 학생보다는 나를 향해 한 말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난 여전히 그 위대한 힘을 믿고 누가 뭐래도 희망을 크게 말하며 새봄을 기다린다. ---「희망을 너무 크게 말했나」중에서

 

 


  1. 박병철(36회) 처음 느낀 사랑을 기억해봐요

    Date2021.10.13 By사무처 Views50
    Read More
  2. 김서중(31회) 오불관언

    Date2021.10.12 By사무처 Views108
    Read More
  3. 심영보(7회) 신간 안내 '즐거웠던 노년생활'

    Date2021.10.12 By사무처 Views207
    Read More
  4. 정병조(17회) 안심불교학술원 석좌교수에 위촉

    Date2021.10.11 By사무처 Views148
    Read More
  5. 박현채(18회) 한국드라마 역사를 새로 쓴 '오징어 게임'

    Date2021.10.11 By사무처 Views48
    Read More
  6. 故 장영희(23회) 동문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Date2021.10.08 By사무처 Views140
    Read More
  7. 차두원(41회) 모빌리티 산업의 한계와 전망

    Date2021.10.08 By사무처 Views64
    Read More
  8. 이성철(36회) 반도체는 대통령이 챙긴다

    Date2021.10.05 By사무처 Views48
    Read More
  9. 김해은(31회) 그래도 지구는 돈다

    Date2021.10.05 By사무처 Views59
    Read More
  10. 김진혁(27회) 실패와 혁신은 동전의 양면

    Date2021.10.05 By사무처 Views55
    Read More
  11. 故 오윤(16회) 수다 즐긴 판화가 오윤, 단골집 빌려 3박 4일 술자리도

    Date2021.10.02 By사무처 Views238
    Read More
  12. 정병조(17회) 시간은 없고, 공부는 남았고

    Date2021.10.01 By사무처 Views195
    Read More
  13. 권오용(26회) 기업과 언론

    Date2021.10.01 By사무처 Views47
    Read More
  14. 성기학(17회) 리사이클링 제품 '친환경 친교육적'

    Date2021.10.01 By사무처 Views84
    Read More
  15. 강상빈(19회) 소금 건강

    Date2021.10.01 By사무처 Views117
    Read More
  16. 강창희(18회) 오십부터는 노후걱정없이 살아야 한다

    Date2021.09.27 By사무처 Views103
    Read More
  17. 박병철(36회) 마음글밥

    Date2021.09.26 By사무처 Views54
    Read More
  18. 박현채(18회) 중국발 헝다 쇼크와 한국경제 리스크

    Date2021.09.26 By사무처 Views39
    Read More
  19. 이희범(19회) 4차 산업혁명시대, 변해야 산다

    Date2021.09.26 By사무처 Views48
    Read More
  20. 권오용(26회) 메타버스 올라탄 '뉴 뷰티, 아모레퍼시픽'

    Date2021.09.24 By사무처 Views7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43 Next
/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