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동문소식

조회 수 5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김해은의 의학이야기] "그래도 지구는 돈다!" 유연한 사고 건강에 도움
  •  페로타임즈 

 

 

 
선각자의 한마디, 기존 질서 무너지고 새로운 세상 열려
김해은 한사랑의원 원장  (대한의사협회 정책자문위원)
김해은 한사랑의원 원장 (대한의사협회 정책자문위원)

과학은 신뢰성에 있어서 종교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갖는다. 근대 이전에는 과학은 종교의 장애물이었고 신의 섭리에서 벗어난 위험천만한 시도였다. 코페르니쿠스는 천동설을 뒤집고 지동설을 주장하고,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그의 이론을 지지하다가 가톨릭 교계로부터 생명의 위협을 받았다. 처음에는 사람들이 그들을 정신이상자나 배교자로 배척하였으나 케플러 같은 후배 천문학자들의 의심과 호기심으로 그들의 관찰이 옳았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래도 지구는 돈다.” 이 말 한마디로 기존의 질서는 무너지고 새로운 세계를 열었다.

과학적 근거 없던 과거에 만병통치약으로 통했던 수은이 오늘날에는 무서운 질병을 일으키는 중금속으로 판명되었고 사람들이 굳게 믿었던 명약이 독극물로 밝혀질 때까지 수많은 인명이 희생되었다. 1950년대 초 일본 구마모토 어촌 미나마타 시에서 발생한 미나마타병의 원인은 수은이었다.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하였던 황산수은이 메칠수은으로 변환하여 하천을 통하여 바다로 흘러들어가 어패류에 축적되고 오염된 수산물을 섭취한 사람들은 수은에 중독되어 제대로 걷지 못하고 손발이 뒤틀리다 심한 경련 속에 죽어갔다. 뇌에 축적된 수은은 중추신경을 손상하고 사지마비와 의식손실을 초래하였다. 희생자가 2200명이 넘었다.

지금은 수은을 맹독성 중금속으로 분류하지만 가장 오래된 한약 서적 신농본초경에는 약으로 분류되었다. 늙지도 죽지도 않는 신선이 되려면 황화수은인 진사를 복용하라고 권하였다. 중국의 명약으로 알려진 단약을 분석하였더니 수은 61%, 유황이 13%였다. 단약을 장기간 복용한 후 수은 중독으로 사망한 사체는 시신이 쉽게 부패하지 않았다. 수은은 미생물인 박테리아에도 치명적이기 때문에 썩지 않았던 것이다.

특히 도교에 심취한 상류층에서 수은에 심취하여 수명을 재촉한 사람들이 많았다. 동진의 황제 사마비, 당황제 태종, 헌종, 목종, 경종, 무종, 선종이 늙지 않고 오래 살기위해 곡기를 끊고 단약만 복용하다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다. 수은 중독은 동양에 국한되지 않고 서양에서도 많았다. 얼굴을 희게 하는 화장품으로, 매독을 치료하는 약품으로, 연금술사들이 금으로 환원하는 신비의 물질로, 수은을 사용하다가 오래 살지 못하였다.

과거의 잘못된 맹신으로 원인도 모르는 채 수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불로장생을 꿈꾸다 죽은 진시황제의 무덤에는 수은이 강물처럼 흐른다. 수은의 영향으로 사체를 온전하게 장치하였지만 그는 살아서 돌아오지 못하였다. 늙지 않고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은 것은 인간의 본능이다. 본능에 따라 살았던 권력자들은 오류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고서를 맹신하다가 죽었다.

현대사회에서도 고증되지 않는 고대의 약제를 신봉하다가 돌아올 수 없는 길로 접어든 경우가 많다. 영양제, 보약보다 몸에 좋은 것은 소식과 절제이다. 채우기보다 비우는 것이, 이념과 신념의 노예가 되는 것보다 유연한 사고가 수명에 도움이 된다. 쉽지만 몹시 어려운 실천이다.

앞으로도 어느 외로운 선각자의 한마디로 기존의 질서는 무너지고 새로운 세상이 열릴 것이다. 우리가 그렇게 믿어왔던 것이 치명적인 것으로 밝혀져도 크게 놀랄 일은 아니다.


  1. 박병철(36회) 처음 느낀 사랑을 기억해봐요

    Date2021.10.13 By사무처 Views49
    Read More
  2. 김서중(31회) 오불관언

    Date2021.10.12 By사무처 Views108
    Read More
  3. 심영보(7회) 신간 안내 '즐거웠던 노년생활'

    Date2021.10.12 By사무처 Views205
    Read More
  4. 정병조(17회) 안심불교학술원 석좌교수에 위촉

    Date2021.10.11 By사무처 Views145
    Read More
  5. 박현채(18회) 한국드라마 역사를 새로 쓴 '오징어 게임'

    Date2021.10.11 By사무처 Views48
    Read More
  6. 故 장영희(23회) 동문 살아온 기적 살아갈 기적

    Date2021.10.08 By사무처 Views139
    Read More
  7. 차두원(41회) 모빌리티 산업의 한계와 전망

    Date2021.10.08 By사무처 Views63
    Read More
  8. 이성철(36회) 반도체는 대통령이 챙긴다

    Date2021.10.05 By사무처 Views48
    Read More
  9. 김해은(31회) 그래도 지구는 돈다

    Date2021.10.05 By사무처 Views59
    Read More
  10. 김진혁(27회) 실패와 혁신은 동전의 양면

    Date2021.10.05 By사무처 Views55
    Read More
  11. 故 오윤(16회) 수다 즐긴 판화가 오윤, 단골집 빌려 3박 4일 술자리도

    Date2021.10.02 By사무처 Views236
    Read More
  12. 정병조(17회) 시간은 없고, 공부는 남았고

    Date2021.10.01 By사무처 Views195
    Read More
  13. 권오용(26회) 기업과 언론

    Date2021.10.01 By사무처 Views47
    Read More
  14. 성기학(17회) 리사이클링 제품 '친환경 친교육적'

    Date2021.10.01 By사무처 Views84
    Read More
  15. 강상빈(19회) 소금 건강

    Date2021.10.01 By사무처 Views114
    Read More
  16. 강창희(18회) 오십부터는 노후걱정없이 살아야 한다

    Date2021.09.27 By사무처 Views103
    Read More
  17. 박병철(36회) 마음글밥

    Date2021.09.26 By사무처 Views54
    Read More
  18. 박현채(18회) 중국발 헝다 쇼크와 한국경제 리스크

    Date2021.09.26 By사무처 Views39
    Read More
  19. 이희범(19회) 4차 산업혁명시대, 변해야 산다

    Date2021.09.26 By사무처 Views48
    Read More
  20. 권오용(26회) 메타버스 올라탄 '뉴 뷰티, 아모레퍼시픽'

    Date2021.09.24 By사무처 Views7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143 Next
/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