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동문소식

조회 수 1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T] 화려한 싱글 꿈꾸지만 얇은 지갑만…돈 걱정 없는 ‘싱글족’ 되려면?
■ 프로그램명 : 통합뉴스룸ET
■ 코너명 : 호모 이코노미쿠스
■ 방송시간 : 2월21일(월) 17:50~18:25 KBS2
■ 출연자 : 강창희 트러스톤자산운용 연금포럼 대표
■ <통합뉴스룸ET> 홈페이지
https://news.kbs.co.kr/vod/program.do?bcd=0076&ref=pMenu#20220221&1
 
[앵커]
경제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읽어보는 코너 호모 이코노미쿠스입니다. 화려한 싱글, 돌아온 싱글, 여기에 하나가 더 있습니다. 언젠가 싱글. 결혼을 해도, 안 해도, 인생 어느 시기엔 홀로 보내는 시간이 찾아오기 마련인데요. 노후에 돈 걱정 없이 당당한 싱글족으로 살아가는 법 알아보겠습니다. 노후 설계 전문가 강창희 트러스톤자산운용 연금포럼 대표 나오셨습니다. 대표님, 건강하시죠?
 
[답변]
안녕하세요? 여기저기 아픈 데는 있지만 잘 견디고 있고요. 코로나도 잘 극복하고 있습니다.
 
[앵커]
올해 일흔다섯이시고. 금융 투자 업계에서만 48년, 아주 잔뼈가 굵으신 분인데. 대표님도 남은 노후에 대한 걱정 같은 거 있으십니까?
 
[답변]
지금 제 입장에서 제일 걱정은 살 집이라든지 노후 자금은 그럭저럭 해결이 되는 것 같은데. 저 먼저 떠나고 혼자 남아서 십몇 년 살아야 되는 제 아내가 그 후에 어떻게 될 건가. 임종 난민 이런 얘기 들으면 참 걱정이 많습니다.
 
[앵커]
본인보다 배우자분을 더 걱정하시는 이유가 있으세요?
 
[답변]
우선 여성분들이 오래 살기 때문에 그런데. 2020년 말 현재로 우리나라 남성 중에서 부인이 먼저 떠나고 혼자된 분이 45만 명 정도고. 50세 이상 여성들 중에서 남편 먼저 떠나고 혼자된 분이 279만 명이더라고요.
 
[앵커]
훨씬 많네요. 269만 명.
 
[답변]
네.
 
[앵커]
사별 후에 혼자 사는 여성들이 훨씬 많다는 거예요, 남성보다.
 
[답변]
지금 혼자 사는 노인들의 70대 이상만 보면 78%가 여성이에요. 여성들의 문제라고 할 수가 있죠.
 
[앵커]
저게 여성분들의 평균수명이 더 길어서 그런 건가요?
 
[답변]
평균수명이 길고. 대개 남편이 나이가 서너 살 정도 위잖아요. 그래서 긴데. 그래서 남성들은 혼자 남아서 9년~10년쯤 살다 세상 뜨는데 여성분들은 15년~16년 징그럽게 혼자 남아서 살아야 되거든요. 그게 싫으면 연하의 남자와 결혼하는 게 제일 좋은데. 그래서 그런지 작년에 결혼한 100쌍 중에서 초혼인 경우에는 19살 연하의 남자와 결혼했다고 그러더라고요. 영향이 있나 봐요.
 
[앵커]
요즘 연하남과의 결혼이 늘고 있는 이유가 있다는 말씀이시군요. 어쨌든 남자든 여자든 노후에 혼자 사는 싱글라이프에 대비를 해야 될 텐데. 가장 먼저 어떤 걸 준비하면 좋겠습니까?
 
[답변]
우선 연금하고 보험인데. 먼저 보험 말씀드리면 젊을 때 건강하던 분들도 60 넘어서 암, 심혈관질환, 저도 부부가 암에 걸렸거든요. 그러니까 보니까 60되기 전에 중대질병보험 하나 들어두는 게 중요한 거 같아요.
 
[앵커]
대표님은 준비해 놓으셨어요?
 
[답변]
다행히 들어가지고 덕을 봤는데. 왜냐면 목돈이 크게 들어가니까.
 
[앵커]
물론 보험도 중요하지만 매달 꼬박꼬박 수중에 돈이 들어오는 거. 현금 중요하잖아요. 연금 준비 어떻게 하면 될까요?
 
[답변]
몇 억의 재산보다도 매달 들어오게. 그러기 때문에 재산 중에서도 한 달에 얼마씩 월세 받을 수 있는 게 좋고. 그다음에 3층 연금이라 그래서 젊을 때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을 꼭 들어두는 게 중요하고. 그 연금을 나중에 목돈으로 받지 말고 IRP 같은 데 넣어서 나눠서 연금으로 받는. 그래야지 오래까지 갈 수가 있으니까.
 
[앵커]
퇴직금을 일시불로 받지 말고, IRP라는 게 개인형 퇴직연금 말씀하시는 거죠?
 
[답변]
개인형 퇴직연금인데 거기다 넣어놓고 연금으로 받게 되면 소비 자금화되는 것도 막을 수 있고. 그다음에 세제 혜택도 받으니까 그런 걸 이용하는 게 좋다.
 
[앵커]
연금이란 건 가입 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찍 붓는 게 좋을 거 같고. 말씀하신 것처럼 나중에 나보다 훨씬 더 몇십 년을 혼자 살아야 하는 아내들을 위해서도 배려를 미리 해야 될 것 같단 생각도 들거든요.
 
[답변]
그렇죠. 그러니까 예를 들어서 만약에 3층 연금으로 아내가 모자랄 거 같으면 주택연금에다 맡기고 한 달에 생활비 쓰다가 갈 때 정산하는 게 주택연금이거든요. 농사짓는 분들은 농지연금 그다음에 목돈이 있는 분들은 아내 명의로 즉시 연금을 들어주면 거기서 얼마씩 매달 연금으로 애들한테 뺏기지 않기도 하고. 그런 면에서 준비가 필요합니다.
 
[앵커]
노부부가 둘이 살다가 혼자 살게 되면 일단 당장 집에 대한 생각부터 달라질 것 같거든요. 주거지 선택은 어떻게 하는 게 좋겠습니까?
 
[답변]
그래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대형 아파트, 고층 아파트를 좋아하는데. 대형 고층 아파트를 조심할 필요가 있다. 왜 그러냐면 혼자되면 이웃만한 복지시설이 없거든요. 그래서 요즘 일본에서 유행하기 시작하는 게 뭐냐 하면 부부만 남았거나 사별하고 혼자되면 시내에서 18평에서 20평짜리, 병원 가깝고 문화시설 가깝고 그다음에 쇼핑 가까운 곳. 이런 데 사는 게 유행하기 시작하고 있거든요.
 
[앵커]
보통 노후에는 전원주택 짓고 호젓하게 사는 생활을 꿈꾸는데 이게 싱글라이프가 되면 상황이 바뀐단 얘기네요?
 
[답변]
서울 노인도 동경 노인도 어디 살고 싶냐고 물어보면 역세권에 조그만 데 살고 싶다고 그러잖아요. 고령화 시대가 되면 교외의 시대에서 도심의 시대로 바뀌는 거 같아요. 그게 영향을 주는 거 같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자녀들과 함께 대형 아파트에 살았던 분들은 그걸 처분하고 소형 아파트로 가는.
 
[답변]
자산의 구조조정이라 그러는데. 생활비를 빼기 위해서도 그렇지만 이렇게 가게 되면 1인 가구가 늘어나고 큰 집이 필요 없게 되거든요, 점점 추세가. 재테크 관점에서도 그렇고 외롭지 않기 위해서 이웃과 소통하기 위해서도 대형 고층 아파트는 피해야 된다. 특히 일본에서 고독사 얘기가 많이 나오잖아요. 우리도 마찬가지인데. 그런 걸 보면 느끼게 됩니다.
 
[앵커]
일단 돈 문제, 집 문제에 대한 조언을 주셨고. 이제 돈과 집이 전부는 아니라는 거죠. 혼자 있는 시간을 과연 누구랑 어떻게 보낼 것이냐 이게 가장 큰 고민일 것 같은데 여기에 대해선 어떤 조언을 주실 수 있을까요?
 
[답변]
노후에 3대 불안이 뭐냐면 첫째가 돈이고 둘째가 건강이고 세 번째가 외로움이거든요. 3대 불안을 해결하는 최소한의 방법이 뭐냐면 돈이 되는 일이든 자원봉사 활동이든 또는 취미활동이든 뭔가 자기한테 맞는 일을 하는 게, 소일거리를 갖는 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앵커]
대표님 소일거리는 방송 출연, 강의, 여러 가지 있지만 사실 일반인들이 하기엔 쉽지가 않잖아요.
 
[답변]
그래서 요즘 보면 미국 같은 경우에는 NPO라고 해서 민간비영리조직인데 그런 데 가서 자원봉사 활동을 하면 점심값, 커피값 정도 받으면서 재밌게 할 수 있는 일들이 많이 생기고 있거든요. 우리도 그렇고 일본도 그렇고요. 그다음에 취미활동 같은 거. 젊은 노인이 나이 든 노인을 도와주는 일도 하고. 지금 그런 일들이 우리 사회에도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그래서 관심을 갖고 미리미리 준비하는 게 중요하다.
 
[앵커]
소일거리라는 게 꼭 돈벌이가 돼야 하는 건 아니잖아요. 나한테 맞는 취미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할 거 같은데.
 
[답변]
그렇죠. 자기한테 맞는 일이기 때문에 자기가 무슨 취미활동이 있는 사람들 같은 경우에는 그 취미로 하다 보니까 약간의 돈이 생길 수도 있고. 그런 일들은 찾게 되면 앞으로 많이 생긴다고 봅니다.
 
[앵커]
대표님은 어떤 취미생활 즐기세요?
 
[답변]
저는 이렇게 원고 쓰고 하는 게 취미이기 때문에 제 체력이 허락하는 한 뭘 번역한다든지 원고 쓴다든지 이 일이 취미 겸.
 
[앵커]
그러시군요. 사실 막상 싱글라이프가 되면 평소에 먹던 밥, 하루 세 끼 밥 챙겨 먹는 것부터 굉장히 힘들어지더라. 막상 현실이 되면 굉장히 어렵다 하는 분들이 많거든요. 이런 분들 평소에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까요?
 
[답변]
그래서 일본에서 유행하는 책 보니까 은퇴하는 남편 길들이기라 그래가지고 자기가 먼저 떠나고 나면 당신 어떻게 할 거냐. 그래서 집안일 스스로 해결하는 법 그다음에 식사 준비도 자기가 해결하는 법 이런 것들을 부부가 같이 있을 때 미리미리 남자들이 몸에 익히는 게 좋은 거 같아요.
 
[앵커]
그래서 어떤 분들은 고독의 근육을 키워라. 독립심을 키워야 된다고 하는데 독립심 키우는 게 어린 자녀들한테만 해당되는 말이 아니더라고요.
 
[답변]
그렇죠. 특히 혼자되면 덜컥 외롭잖아요. 그러니까 고독력을 키운다 그러죠.
 
[앵커]
어떻게 키울 수 있습니까?
 
[답변]
어떤 사람은 종교생활하는 분들은 종교에서 그런 걸 찾기도 하고 그다음에 독서 좋아하는 분들은 독서하기도 하고. 뭔가 하여튼 이웃 사람과 어울리는 노력도 해야 되지만 혼자 있어도 외롭지 않도록 뭔가 할 수 있는. 요즘 유튜브 같은 것도 좋지 않습니까? 예를 들어 저 같은 경우는 길을 걸으면서 소설을 읽어주는 그런 유튜브를 많이 듣거든요. 굉장히 히어링이 되고 좋습니다.
 
[앵커]
대표님은 일단 돈 문제는 크게 걱정 안 하신다고 하셨는데.
 
[답변]
크게라면 그렇지만.
 
[앵커]
보통 싱글라이프, 노년 후에 싱글라이프로 살아가려면 한 달에 얼마 정도 돈이 필요할까요?
 
[답변]
그건 사람마다 다른데 예를 들어서 한 250만 원 정도가 부부 둘이. 아, 혼자? 혼자 살아도 사실은 둘이 사는 거랑 큰 차이가 없죠. 그런데 그거는 시골에 있는 분, 도시에 사는 분 다르기 때문에 저는 얼마가 있어야 된다는 말은 하지 않고 주어진 상황에 맞춰서 살아야 된다. 그런 능력을 길러야 된다고. 경제적 자립은 돈 버는 능력만이 아니고 자기가 주어진 상황에 맞춰 사는 능력을 기르는 게 제일 중요한 거 같다 그렇게 생각합니다.
 
[앵커]
얼핏 드는 생각은 그냥 자녀들 집에 기대서 같이 사는 거 어떨까 하는 생각도 드는데 요즘 그런 분들은 많지 않죠?
 
[답변]
그런데 그게 며느리들이 생각하는 시집살이보다 며느리 또는 아들에 맞춰사는 게 훨씬 더 스트레스를 받지 않을까. 우선 생각이 다르고 그들도 다 이제는 우리 세대와 달라가지고 맞벌이를 하잖아요. 그러기 때문에 그건 어렵다고 봅니다.
 
[앵커]
앞으로 우리 대표님도 건강관리 잘하셔서 계속 좋은 정보, 좋은 강의 많이 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앵커]
지금까지 트러스톤자산운용 강창희 대표와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

  1. 김진혁(27회) 돼지는 살찌는 것을 조심하고 사람은 말조심해야

    Date2022.03.04 By사무처 Views145
    Read More
  2. (사)한국공연 예술원 (7회)양혜숙 이사장,"한극'(韓劇)은 우리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공연예술"

    Date2022.03.03 By사무처 Views65
    Read More
  3. 이우환(8회) 이어령선생을 보내며, 한글에 왜 띄어쓰기가 있습니까?

    Date2022.02.27 By사무처 Views173
    Read More
  4. 이광형(25회) 총장 경찰미래비전 위원장 위촉

    Date2022.02.27 By사무처 Views72
    Read More
  5. 박현채(18회) 우려되는 정치권의 심각한 재정 중독

    Date2022.02.27 By사무처 Views89
    Read More
  6. 양혜숙(7회) 이란의 석류 그리고 우리 교육의 인간 만들기

    Date2022.02.27 By사무처 Views133
    Read More
  7. 장덕상(30회) - 르끌레도 국제 클럽 명예 회원 등제

    Date2022.02.24 By사무처 Views145
    Read More
  8. 강창희(18회) 화려한 싱글 꿈꾸지만 얇은 지갑만

    Date2022.02.22 By사무처 Views166
    Read More
  9. 양혜숙(7회) 우리에게 조국이란 무엇인가?

    Date2022.02.22 By사무처 Views105
    Read More
  10. 20김종량 동문 관련기사_한양대

    Date2022.02.21 By선농문화포럼 Views116
    Read More
  11. 이광형(25회) 어릴적부터 코딩가르치고 의사과학자 키워야

    Date2022.02.21 By사무처 Views57
    Read More
  12. 이강년(25회) 총동창회장 사재 털어 국가 키웠더니 토사구팽

    Date2022.02.17 By사무처 Views155
    Read More
  13. 한국의 자랑 한글 - 이화여대 명예교수 아이코리아 이사장 김 태 련(8회)

    Date2022.02.17 By사무처 Views86
    Read More
  14. 33회장 노용오 - 중앙농협 사외이사 재선임 소식

    Date2022.02.16 By사무처 Views194
    Read More
  15. #17성기학 (주)영원무역 노스페이스_대한민국 1위 브랜드

    Date2022.02.16 By선농문화포럼 Views70
    Read More
  16. 이광형(25회) 취임 1주년 연구중심 과학의 전원 만들 것

    Date2022.02.16 By사무처 Views70
    Read More
  17. 박현채(18회) 한국경제의 최대화두로 등장한 공급망 다변화

    Date2022.02.15 By사무처 Views51
    Read More
  18. 김해은(31회) 호밀밭의 파수꾼 -20대의 표심과 상무정신

    Date2022.02.15 By사무처 Views115
    Read More
  19. 김옥찬(27회) 협력사와 상생하는 것이 지속가능 성장의 원동력

    Date2022.02.13 By사무처 Views81
    Read More
  20. 차두원(41회) 자율주행 레벨 3 성공가능성

    Date2022.02.13 By사무처 Views12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143 Next
/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