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png

조회 수 4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떡국'은 설 명절을 대표하는 음식으로,
 예로부터 설은 천지만물이 새로 시작되는 날인만큼
 엄숙하고 청결해야 한다는 뜻으로 깨끗한 흰떡을 끓여 먹은 데서 유래되었고,
또 이 날 먹는 떡국은 '첨세병'이라고 해서
 나이를 한 살씩 더 먹는다는 뜻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동국세시기'에는 떡국을 '백탕' 혹은 '병탕'이라 적고 있는데,
 즉, 겉모양이 희다고 하여 '백탕'이라 했으며,
 떡을 넣고 끓인 탕이라 하여 '병탕'이라 했다고 나와 있다.



↑ 떡국

◆ 설날에 떡국을 먹는 이유는?

쌀이 귀하던 옛날에는 그 귀한 쌀로 떡을 만들어 먹는 것은
 환갑잔치나 명절과 같은 큰 의미가 있는 날 뿐이었다. 
따라서 '떡국'은 떡이 갖고 있는 '잔치'의 상징성이
 '최고의 즐거움'으로 확대된 것이며 설날 아침에 평소 먹기 힘든
 고기와 함께 떡을 먹기 위해 고기가 들어간 떡국이 만들어졌고,
 명절음식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적당한 것이 없을 때 그와 비슷한 것으로 대신한다는 뜻으로 쓰이는
 '꿩 대신 닭'이라는 속담은 떡국에 넣어야 제 맛이 나는
 꿩고기를 구하지 못한 사람들이 그 대신 닭고기를 넣어
 떡국을 끓였다는 데서 비롯된 말이라고 한다.

◆ 떡국의 흰 떡의 의미는?

흰색은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로 시작을 뜻하기도 한다. 
또한 묵은 때를 씻고 흰색처럼 깨끗해지자는 뜻도 있다. 
조선조 서울의 풍속을 소개한 '열양세시기'에는
 흰떡을 '좋은 멥쌀을 빻아 채로 곱게 친 흰가루를 쪄서 안반에 놓고
 자루달린 떡메로 쳐서 길게 만든 가래떡을
 엽전 모양만하게 썰어 육수물에 끓인 음식' 이라고 전하고 있다.

◆ 가래떡을 길게 뽑아 동그랗게 써는 이유는?

떡국에 사용하는 긴 가래떡은 가래떡을 뽑을 때 떡을 쭉쭉 길게 뽑듯이
 재산도 그만큼 많이 늘어나고 무병장수 하라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가래떡을 동그랗게 써는 것은 엽전처럼 생긴 떡국을 먹으면서,
 맞이하는 새해에도 돈이 잘 들어와 풍족해지기를 바라는
 조상들의 마음에서 비롯된 것인데 이후 모양을 내기 위해 어슷하게 썰게 되었다. 
개성에서 유래한 조랭이 떡국 역시 누에고치 모양의 조랭이가
 재물과 풍년을 가져온다고 하여,
 새해에도 집안에 재물이 넘쳐나길 기원하는 마음에서 먹었다고 한다.

◆ 맛있는 떡국, 생각보다 높은 칼로리엔 주의

떡국의 칼로리는 의외로 높아 1인분에 400~500kcal 정도이다. 
떡국에 들어있는 영양소를 보면
 주재료인 떡은 쌀로 만들어 탄수화물이 많이 함유돼 있다. 
게다가 같이 들어가는 부재료인 파는
 국물 재료인 멸치나 쇠고기의 냄새를 없애는 역할을 하며,
 비타민이나 칼슘, 철분 등이 포함돼
 탄수화물 중심의 떡국에 미량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위에 올라가는 고명인 양념에 무친 고기와 달걀지단은
 맛뿐만 아니라 단백질을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한다. 
떡국을 먹을 때는 나물이나 심심한 김치를 함께 곁들이면
 섬유소나 비타민을 보충할 수 있다.

이렇게 영양가 만점의 음식이지만
 비교적 칼로리와 나트륨 함량이 높은 음식이므로 지나치게 많이 먹게 되면
 칼로리와 나트륨을 과다 섭취하게 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설 대표음식 '떡국'에 대해 궁금한 3가지 이기승(19) 2015.02.23 452
2065 손가락 요가로 다이어트가 가능하다? 이기승(19) 2015.02.18 526
2064 체질에 맞는 한방차 마시기 이기승(19) 2015.02.13 816
2063 나는 어떤 사람?.. 사상 체질 알아보세요 이기승(19) 2015.02.08 777
2062 간편하게 겨울철 건강을 지키는 족욕법 이기승(19) 2015.02.03 721
2061 듣고 싶은 가수를 골라 감상하세요 이기승(19) 2015.01.29 388
2060 서울 칼국수 이기승(19) 2015.01.24 502
2059 라면 이야기 이기승(19) 2015.01.19 388
2058 한국인이 사랑한 짜장면 5選 이기승(19) 2015.01.14 627
2057 인천의 진산에 올라 보는 환상적인 서해 일몰 이기승(19) 2015.01.09 792
2056 또 한 살... 나이, 먹기만 하나? 줄일 수도 있다 이기승(19) 2015.01.04 539
2055 다육식물 이름 30가지 추가 이기승(19) 2014.12.30 1868
2054 노인의 性, 정년은 없다! 이기승(19) 2014.12.25 340
2053 축! 성 탄! 이기승(19) 2014.12.22 266
2052 다육식물 종류들 이름알기 , 기르는 방법 이기승(19) 2014.12.20 8984
2051 가장 간단한 스트레스 해소법(손가락요가) 이기승(19) 2014.12.15 516
2050 양파, 마늘, 호두, 쉽게 까는 법 이기승(19) 2014.12.10 1608
2049 송구합니다. 이기승(19) 2014.12.06 795
2048 뱃살을 줄여주는 일상 속의 사소한 방법 이기승(19) 2014.12.05 482
2047 Christmas Songs-Non Stop-Medley-Mix Songs 이기승(19) 2014.11.30 26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6 Next
/ 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