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png

2017.02.17 02:16

우리말 유래 ... (5)

조회 수 1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우리말 유래 100가지..(81~100)

 

81. 재미 

재미는 원래 자양분이 많고 맛이 좋은 음식을 가리키는 자미(滋味)에서 나온 말이다. 
이처럼 좋은 맛이나 음식을 가리키던 말이었는데,

 어떤 이야기나 일이 감칠맛이 나고 즐거운 기분이 날 때 그것을 표현하는 말로 바뀌었다. 
예시문 : 음식이 맛있으면 먹는 일이 훨씬 즐거운 것처럼

 하는 일이 재미 있으면 사는 맛이 한결 더한 법이지요.

82. 저승 

불교 용어에서 온 ‘저승’은 사람이 죽은 뒤에 그 영혼이 가서 살게 되는 곳을 가리키는 말이다. 
‘저승’은 지시대명사인 ‘저’와 ‘삶’을 뜻하는 한자어 생(生)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말로서

 ‘저생’의 소리가 변해서 ‘저승’이 되었다.

 ‘이 세상’을 가리키는 ‘이승’ 역시도 같은 이치로 이루어진 말이다. 

오늘날 이승이나 저승은 종교적인 의미보다는 오히려 아주 일반적으로

 ‘삶의 세계’와 ‘죽음의 세계’를 가리키는 말로 널리 쓰이고 있다. 
예시문 : 고달픈 이승을 하직하고 저승으로 떠나는 길에 입고 가는 수의는

 치자 물을 들인 마포로 짓는다 하나….≪최명희, 혼불≫

83. 조바심 

옛날에는 타작하는 것을 ‘바심’이라고 했다. 

조를 추수하면 그것을 비벼서 좁쌀을 만들어야 하는데, 

조는 좀처럼 비벼지지는 않고 힘만 든다. 

그래서 조를 추수하다 보면 생각대로 마음먹은 만큼

 추수가 되지 않으므로 조급해지고 초조해지기 쉽다. 
즉, 어떤 일이 뜻대로 이루어질까 염려하여 마음을 조마조마하게 졸이는 것을 말한다. 
예시문 : 최 참판 댁에 도착했을 때 조바심을 내며

 기다릴 줄 믿었던 최치수는 의외로 냉담했다.≪박경리, 토지≫

84. 조용하다 

한자 ‘종용(從容)’이‘죵용’으로 표기되다가 오늘날의 표기에 맞춰 ‘조용’이 되었다.

‘종(從)’은 거역하지 않고 말을 들어 따른다는 뜻이요, 

‘용(容)은 떠들지 않고 가만히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종용(從容)이라는 말은 행동거지가 안온하고 부드러우며

 자연스럽고 유유자적하게 지내는 모양을 뜻하는 말이다. 

행동이나 성격이 수선스럽지 않고 얌전하다는 본래의 뜻 외에,

 아무 소리도 들리지 않고 잠잠하다는 뜻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예시문 : 너희들 오늘따라 이렇게 조용한 것이 뭔가 수상쩍은데, 혹시 무슨 일이 있는 거 아니니?

85. 조촐하다

‘조촐하다’는 본래 뜻이 아담하고 깨끗하다. 

행실이나 행동이 깔끔하고 얌전하다. 외모가 맑고 맵시가 있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 말이 ‘변변치 못하다’는 겸양의 뜻으로 쓰이고 있어 그 의미가 걸맞는 말은 아니다. 

흔히 회갑연(回甲宴)이나 축하연(祝賀宴) 같은 자리를 마련하면서

 ‘조촐한 자리를 마련하였사오니 부디 오셔서 축복해주시기 바랍니다’

 하는 인사말을 하는데 자리를 마련하는 당사자가 쓸 수 있는 말은 아니다. 

예시문 : 조촐하게 차려 입고 나온 그녀의 모습이 멋있다.

86. 조카

형제의 아들, 딸을 일컫는 호칭인 조카라는 말의 어원은 중국의 개자추(介子推)로부터 시작된다. 

개자추(介子推)는 진나라 문공이 숨어 지낼 때 

그에게 허벅지 살을 베어 먹이면서까지 그를 받들던 사람이었다. 

그러나 후에 왕위에 오르게 된 문공이 개자추를 잊고 그를 부르지 않자 이에 비관한 개자추는

 산 속에 들어가 불을 지르고 나무 한 그루를 끌어안고 타 죽었다. 

그때서야 후회한 문공이 개자추를 끌어안고 죽은 나무를 베어 그것으로

 나막신을 만들어 신고는 ‘족하(足下)! 족하!’ 하고 애달프게 불렀다. 

문공 자신의 사람됨이 개자추의 발 아래 있다는 뜻이었다. 

여기서 생겨난 족하(足下)라는 호칭은 그 후 전국시대에 이르러서는

 ‘천자 족하’, ‘대왕 족하’ 등으로 임금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였다가

 그 이후에는 임금의 발 아래에서 일을 보는 사관(史官)을 부르는 호칭으로 쓰였다. 

그러다가 더 후대로 내려오면서 같은 나이 또래에서 상대방을 높여 부르는 말로 쓰이기 시작했다.

지금은 형제자매가 낳은 아들, 딸들을 가리키는 친족 호칭으로 쓰인다. 

예시문 : 조카딸의 남편을 조카사위라고 부르던가?

87. 주변머리 

주변이란 본래 일을 주선하고 변통하는 재주를 가리키는 말이다. 
뒤에 붙은 ‘머리’는 일종의 접미사로서 ‘소갈머리’, ‘인정머리’ 등에 쓰이면서

 그 뜻을 강조하는 역할을 하는 접미사이다.

 ‘주변머리’는 ‘주변’의 속된 표현으로서,

 일을 이끌어 가거나 처리하는 데 융통성을 발휘하는 재간을 말한다. 

그러나 이 말은 보통 변통하는 재주나 융통성이 없어 일을 답답하게 처리할 때

 ‘주변머리가 없다’는 식의 부정적인 표현으로 널리 쓰인다. 비슷한 말로는 ‘수완(手腕)’이 있다. 
예시문 : 주변머리가 없어서 일을 제대로 처리할 수나 있을지 걱정이네.

88. 중뿔나게 

말 그대로 ‘가운데 뿔이 나게’의 뜻이다. 

가운데 뿔이 났다는 건 다들 고른 가운데 갑자기 하나가 툭 튀어나와 눈에 띄는 것을 말한다. 

어떤 일에 아무 관계도 없는 사람이 주제넘게 나서는 것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예시문 : 어른들 말씀하시는데 중뿔나게 나서지 마라. 

89. 지름길 

원의 한가운데를 지나는 두 점을 잇는 가장 짧은 직선을 지름이라고 한다. 

이처럼 원 둘레를 빙 돌아 맞은편에 닿는 것이 아니라

 원의 한가운데 지름을 질러가는 길을  지름길이라 한다. 

어떤 목적지까지 가장 가깝게 통하는 길을 말하며 한자로는 첩경(捷徑)이라고 한다. 
예시문 : 떡집엘 가려거든 고개 너머 왼쪽 지름길로 질러가거라.

90. 진이 빠지다 

식물의 줄기나 나무껍질 등에서 분비되는 끈끈한 물질을 진(津)이라고 한다. 
진이 다 빠져나가면 식물이나 나무는 말라서 죽게 된다. 

그러므로 진이 빠진다는 것은 곧 거의 죽을 정도로 기력이나 힘이 없다는 뜻이다. 

어떤 일에 지쳤거나 맥을 못 출 정도로 기운이 빠진 상태, 싫증이 나거나 실망해서

 혹은 지쳐서 더 이상 일할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예시문 : 그 일은 너무 오래 붙잡고 있었더니 진이 빠지더라.

91. 진저리 

찬 것이 별안간 살에 닿을 때나 오줌을 누고 난 뒤에

 무의식적으로 몸을 부르르 떨리는 현상을 말한다. 

겁나거나 징그러운 것을 봤을 때 자기도 모르게 온몸이 움츠러들며 떨리는 현상이나 

어떤 일에 싫증이 나서 지긋지긋해진 상태를 가리키기도 한다. 
예시문 : 그는 추위에 몸을 떨며 부르르 진저리를 쳤다.≪최인호, 지구인≫

92. 짬이 나다 

짬은 물건과 물건 사이에 틈이 생긴 것을 의미하며 어떤 일에서 손을 떼거나

 다른 일에 손을 댈 수 있는 겨를을 가리킨다. 

원래는 물건 사이에 벌어진 틈을 이르던 말로 바쁜 일 사이에

 낼 수 있는 시간을 말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 
예시문 : 야, 너 오전에 잠깐 짬 좀 낼 수 있니? 아주 급한 일이라 그래.

 시골에 계신 어머님을 뵈러 한 번 다녀와야 할텐데 도대체 짬이 나야 말이지.


93. 칠칠하다 

채소 따위가 주접이 들지 않고 깨끗하게 잘 자랐다는 의미로 

사람이나 푸성귀가 깨끗하고 싱싱하게 잘 자란 것이나,

 일을 깔끔하고 민첩하게 처리하는 것 등을 모두 ‘칠칠하다’고 한다. 
흔히 깨끗하지 못하고 자신의 몸 간수를 잘 못하는 사람이나 주접스러운 사람을 보고

 ‘칠칠맞다’고 하는데 그것은 ‘칠칠치 않다’, ‘칠칠치 못하다’라고 써야 한다. 
예시문 : 텃밭에 심은 시금치가 칠칠하게 아주 잘 자랐어요. 

그 사람은 무슨 일을 시켜도 칠칠하게 해내니 믿고 맡길 수가 있다구.

94. 터무니가 없다 

터는 본래 집이나 건축물을 세운 자리를 가리키는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집을 헐어도 주춧돌을 놓았던 자리나 기둥을 세웠던 자리들이

 흔적으로나마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그런 흔적조차 없는 경우에는

 그 자리에 집이 있었는지 어떤 구조물이 있었는지 알 길이 없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터의 무늬(자리)가 없다는 말은 곧 근거가 없다는 뜻이 되는 것이다. 
예시문 : 이러구러 하는 동안에 일본의 터무니 없는 주장이

 터무니를 갖추게 될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유진오, 구름 위의 만상≫ 

95. 통틀어

사고자 하는 물건이 조금 남아있을 때 ‘이거 통털어 얼마예요?’ 하는 말을 많이 쓴다. 
‘통틀다’ 보다 ‘통털어’라고 많이 쓰는데,

 ‘통을 탈탈 털어서’의 준말이 ‘통털어’라고 생각한 데서 온 결과인 듯싶다. 

그러나 표준말은 엄연하게 ‘통틀어’이다. 
여기에서의 ‘통’은 ‘온통’의 뜻이며, ‘틀다’는 어떤 것을 한 끈에 죽 엮어 맨다는 뜻이다. 

‘어떤 물건이나 사물을 있는 대로 모두 합해서’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말이다. 
예시문 : 이 참외 통틀어 얼마에 주실래요?

96. 트집 잡다 

한 덩이가 되어야 할 물건이나, 뭉쳐야 할 물건의 벌어진 틈을 가리켜 ‘트집’이라 한다. 
공연히 조그마한 흠집을 잡아내어 말썽을 일으키는 일을 가리키는 말로 뜻이 확대되었다. 
예시문 : 저편에서 처음부터 트집 잡고 싶어 애쓰는 눈치가 보였지만

 워낙 이편에 실수가 없으니까 무슨 트집을 잡을 수 있습니까.≪홍명희, 임꺽정≫

97. 판에 박다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 중에 떡이나 다식(茶食) 종류는

 떡살이나 다식판에 박아서 일정한 모양을 만들었다. 

이렇게 다식판에 박아서 만들면 그 모양이 똑같게 나오기 때문에

 ‘판에 박은 듯하다’는 말이 나왔다. 

여럿이 한 판에 박아낸 것처럼 그 모양이 똑같은 경우를 일컫는 말이다. 
예시문: 정희는 얼굴이 제 어머니를 판에 박았더군.

98. 푸념 

‘푸념’은 우리 나라 무속(巫俗) 신앙에서 온 말로서, 무당이 굿을 할 때 신의 뜻이라 하여

 그 굿을 청한 사람에게 꾸지람을 해대는 말을 가리킨다. 
푸념은 보통 죽은 자의 혼령이 그의 억울한 심경이나 가슴에 맺힌 한(恨)을 늘어놓고

 그것을 풀어달라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무속에서 쓰는 특수 용어가 일상 생활에서 쓰이기 시작하면서 마음 속에 품은

 불평이나 생각을 길게 늘어놓는 것을 가리키게 되었다. 

예시문 : 허어 이 사람, 그렇게 비감해할 건 없네. 

그건 그저 이 앓고 있는 늙은것의 푸념에 지나지 않는 거고…….≪안수길, 북간도≫ 

99. 푼돈 

‘푼’이란 옛날의 화폐 단위로서 돈 한 닢을 가리키는 말이다. 
한 냥, 두 냥 할 때 한 냥의 10분의 1이 한 푼으로 아주 작은 돈의 액수를 푼이라 하는데,

 예전에 거지들이 손을 내밀며 ‘한 푼만 줍쇼!’ 하곤 했다 .

‘무일푼’의 푼도 곧 한 냥이 채 못 되는 정도의 아주 작은 ‘돈’을 가리키는 말이다. 

많지 않은 몇 푼의 돈을 가리키는 말이다. 
예시문 : 한 번에 목돈을 빌려 주고 나중에 푼돈으로 받으니 손해가 막심하다.

100. 한참동안

본래는 역참(驛站)에서 나온 말이다. 

한참은 한 역참과 다음 역참 사이의 거리를 나타내는 말이었다가

 나중에는 한 역참에서 다음 역참까지 다다를 정도의 시간을 나타내는 말로 바뀌었다. 

지금은 ‘상당한 시간이 지나는 동안’을 이르는 말로 쓰인다. 
예시문 : 약속 장소인 조계사 앞에서 한참동안 기다려도 그가 나타나질 않자 초조한 마음이 들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7 당일치기로 즐기기 좋은 여름 계곡 7선 1 이기승 2019.08.15 151
356 水有七德 이기승 2019.05.18 151
355 역사 배우고 애향심 키우고.. 부모·자녀 함께 떠나는 '시간여행' 이기승 2017.01.29 151
354 한국관광공사 강력 추천! 가을 감성 여행지 BEST 5 이기승 2019.10.28 150
353 빅데이터 살펴본 국민들이 평창·강릉·정선 여행하는 법 이기승 2017.09.15 149
352 100여년전 역사의 현장 힐링여행 '횡성 풍수원성당' 이기승 2017.04.15 149
351 해미읍성축제와 특별한 추억 만들 가을 여행지 '서산九景' 이기승 2017.09.21 147
350 외국인들이 우리나라 오면 깜짝 놀란다는 한국 문화 5 이기승 2020.01.29 146
349 부부의 일곱고개 이기승 2019.12.31 146
348 축의금 이기승 2018.06.17 146
347 건강한 노년을 위해 주의해야 할 질환 5 이기승 2016.09.04 146
346 세상을 바꾼 방정식 이기승 2017.03.03 146
345 겨울여행 주간을 즐기는 10가지 방법 이기승 2017.01.12 146
344 破屋草 이기승 2020.03.30 145
343 근심을 덜어주는 인생 조언 이기승 2019.02.20 145
342 문자 전체 발송 조심 이기승 2016.12.09 145
341 술에 관하여 이기승 2017.01.26 145
340 한국 대표 작가들이 말했다, 여긴 꼭 가보라고 이기승 2017.03.06 145
339 불효자의 효도 이기승 2018.05.30 144
338 어느새~~ 이기승 2018.05.13 144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76 Next
/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