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png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낯선 시간과 공간이 펼쳐지는 거리, 인천개항누리길.


인천은 1883년 개항 이래 항구를 중심으로 시가지가 형성되면서 
번성기를 누렸던수도권 유일의 해양도시다. 
대한민국의 오늘을 알 수 있는 근현대사의 핵심이 되는 지역이다.

자유 공원은 원래 '만국공원'이었고 국내 최초의 서구 공원이었다. 

또 근대은행·제물포 구락부(클럽)·물류창고 등 이국적인 옛 건축물들도 볼 수 있다. 

'인천 개항누리길'은 인천의 개항지 곳곳을 누비며, 

격변의 한국 근현대사를 하나하나 알아갈 수 있는 도보 길이다.

인천 중구는 100여 년 전의 역사와 문화의 숨결을 간직한 곳이다. 

여기서 개항장 권역을 돌아볼 수 있다. 

인천의 '올레길로' 불리는 이 길은 

인천광역시 중구에서 2006년부터 운영해 온 도보 관광코스다. 

이곳은 최근 차이나타운·자유공원·개항박물관·근대역사건축물·한중문화관 등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인천의 대표적인 관광지가 됐다.

격변의 개항기를 엿볼 수 있는 '인천 개항누리길'

수도권 1호선 전철의 종점 인천역에서 인천의 근대역사문화자원을 탐방하는 

'인천 개항누리길'은 소요되는 도보 시간별로 3개의 코스로 나뉜다. 

코스마다 들어선 다양한 박물관과 전시관·문화관 입장은 

1700원에 통합입장권을 구매해 관람하는 게 편하다. 

'인천 개항누리길'을 전문 해설사와 걸으며 인천의 역사적 의미를 

더욱 깊이 알고 싶다면인터넷으로 간단히 신청할 수 있다. 

문의는 인천 중구청 관광진흥과(032-760-7823)로 하면 된다.

* 1코스 (1시간)
 인천역 - 차이나타운 거리 - 삼국지 벽화거리 - 자유공원 -제물포 구락부 - 

 개항박물관 - 인천 근대건축전시관 - 한중문화관 - 인천아트플랫폼

 * 2코스 (2시간)
 인천역 - 차이나타운 거리 - 삼국지 벽화거리 - 자유공원 - 제물포 구락부 - 

 개항 박물관 -인천 근대건축전시관 - 홍예문 - 내동교회 - (구)인천우체국 - 인천아트플랫폼

 * 3코스 (3시간)
 인천역 - 화교중산학교 - 차이나타운 거리 - 삼국지 벽화거리 - 자유공원 - 

 제물포 구락부 - 개항 박물관 -인천 근대건축전시관 - 홍예문 - 신포 상가 - 

 답동성당 - 인천아트플랫폼

 서울 노량진과 인천사이 우리나라에 처음 생겨난 경인선 철도의 증기기관차, 인천역 앞.


 겉은 바싹하고 속은 촉촉한 중국식 화덕 만두, 차이나타운에서.


인천역은 1호선 전철역으로도 알려졌지만, 
한국 최초의 철도 경인선의 흔적이 서린 공간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철도는 1899년 서울 노량진과 인천 사이에 33.8km 구간에 개통됐다. 
경인선은 당시 서울~인천을 1시 30분으로 줄이며 일일생활권으로 만드는 계기가 됐다. 
어느 소읍의 기차역 같은 투박한 외관이 변함이 없는 인천역 앞에는 
최초의 증기기관차 모형이 전시돼 있다.

서울과 인천을 달리던 우리나라 최초의 열차인 경인선 열차. 

근대문명의 상징이지만 식민지 조선에 대한 일제의 침략과 수탈의 상징이기도 하다 보니, 

기차와 기차여행을 좋아하는 이에게 마음 아픈 대상이기도 하다.

역 앞 인천 차이나타운으로 연결되는 중국식 전통 대문인 패루를 지나면 

본격적인 인천 개항나루길 여행이 시작된다. 

인천역과 인천항이 만나는 이 일대는 예부터 화교들이 정착, 

국내 최대 차이나타운이 형성된 곳이다. 

붉은 색채로 가득 채워진 거리는 

1883년 인천항 개항 이후 중국인들이 대거 몰려와 형성됐다. 

중국 고유의 문화와 활기를 간직한 채 지금도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오늘날 차이나타운 거리 한편에는 짜장면 박물관이 들어섰고, 

골목 곳곳은 중국풍으로 단장됐다. 

만두의 원조국답게 커다란 화덕의 벽에 만두를 붙여 구워내는 

화덕만두 때문에 사람들이 긴 줄을 서고 있었다. 

특히 고기 화덕만두가 단연 인기인데 겉이 바삭하지만 

속은 육즙이 흐르는 고기가 가득 차 있다. 

그 맛이 담백해서 자꾸 손이 간다. 

도자기 항아리를 이용해 구워내는 화덕 만두는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점이 특징이고, 

중국 전통 방식을 그대로 재현한 화덕에서 구워내서 그런지 고기 특유의 느끼함이 없다.

 부산에 이어 1883년 외세에 의해 개항한 제물포항(현 인천항).

   인천개항누리길에서 촬영

 인천 중구청 주변에 펼쳐진 근대역사문화거리.


이곳에 오게 되면 잊고 살았던 초등학교 3학년 때 
한 반이자 한동네에 살았던 '여친'이 떠오른다. 
중국집 딸이었던 그녀는 종종 나를 집에 데려가 
당시엔 가을 운동회 때나 먹었던 중국음식을 먹여주곤 했다. 
달달하고 입에 쩍쩍 달라붙는 기름진 음식들을 먹으며 더 놀랐던 건, 
그녀가 식구들과 나누던 중국말 때문이었다.

뭐랄까, 말 하나로 인해 전혀 다른 아이로 느껴졌다. 

얼마 후 다른 지역으로 전학을 가면서 우린 헤어졌다. 

그렇지만, 초등학교 시절 사귄 숱한 여자 친구들 가운데 유일하게 이름이 기억나는 아이다. 

맛깔스러운 중국음식 때문이었는지, 

빠르고 요란했던 식구들과의 중국말 때문인지는 잘 모르겠다.

구한말 인천에 온 중국인들이 불공을 드렸다는 의선당, 

삼국지의 명장면이 벽화로 새겨진 삼국지 벽화거리도 눈길을 끈다. 

국내외 관광객들로 북적이는 차이나타운 거리를 

구경하면서 걷다 보면 길은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곧 인천 중구청이 있는 동네로 들어서게 된다. 

그야말로 100여 년 전 개항한 근대거리의 모습이 곳곳에 펼쳐진다.

쇄국정책(통상수교거부정책)을 고수하던 구한말 조선은 

1876년 외세의 강압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일본과 강화도 조약을 체결한다. 

이 조약에 따라 제일 먼저 개항한 곳은 부산이었다. 

7년 후인 1883년 인천 제물포항마저 개항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일본과 청나라를 비롯한 각국의 조계지가 이곳에 만들어졌다. 

인천에서도 중구는 인천항 개항 당시 건물이 

아직도 많이 남아 있어 근대 분위기를 가장 잘 느낄 수 있다. 

중국과 일본, 서구 문화가 뒤섞여 만들어내는 

독특한 분위기가 마치 옥외 박물관에 온 것 같다.

 1800년대 청·일의 조계지로 석등의 모양과 건축물이 서로 다르다.


 주민들이 사는 동네에도 근대 시절 건물의 흔적이 남아있다.


일본은 1883년 제물포항(현재의 인천항)을 강제로 개항시켰다. 
이후 이 일대는 외국이 행정권과 경찰권을 행사했고, 많은 외국인이 거주했다. 
일본은 또 자국의 화폐를 사용하기 위해 은행도 세웠다. 
1883년 설립된 일본 제1 은행은 현재 인천개항박물관(인천시 유형 문화재 제7호)으로, 
1890년 지은 일본 제18 은행(제50호)은 근대건축전시관으로 쓰이고 있다. 
또 1892년 프랑스풍의 2층 벽돌 건물로 만들어진 
일본 제58 은행(제19호)도 당시의 분위기를 전한다.

구한말 개항부터 해방 직후까지 

인천 중구는 '인천의 명동'이라 불리며 인천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서울에 있던 러시아 대사관이 인천으로 옮겼을 정도로 

상당수의 대사관이 인천에 있었다고 한다. 

이후 90년대 들어 행정중심이 남동구 신시가지로 옮겨가면서 

구도심으로 그 명성이 퇴색해 버렸지만, 

오늘날에는 옛 모습 그대로인 것이 오히려 사람들을 끌어들이고 있다.

100여 년 전 거리의 모습이 남아있는 '인천 중구'

 개항누리길에 있는 개항박물관, 근대건축물 전시관 등은 꼭 가볼만하다.


 인천개항누리길에서 만난 인력거꾼, 인력거도 개항과 함께 들어왔다.


인천 중구청 주변의 개항 누리길은 
과거 제국주의 열강들의 각축장으로 근대문명의 자취가 고스란히 남아있는 공간이다. 
중구청을 중심으로 형성된 주변 거리는 우리나라 개항기 근대건축물이 밀집되어 있다. 
1883년부터 일제 강점기에 이르기까지 당시에는 생소한 용도의 건물인 
은행, 교회, 상점 등이 각국 풍의 양식에 따라 자리하고 있다.

이 길의 명소 가운데 하나는 청일 조계지 경계 계단이다. (인천시 기념물 제51호) 

1883년 설정된 일본 조계와 1884년 마련된 청국조계와의 계단으로 자유공원과 연결된다. 

중앙에 돌계단을 배치하고 양쪽에 조경공간을 두어 

이 계단을 중심으로 확연하게 다른 청국과 일본 건물들이 배치되었다. 

계단 양쪽의 석등 모양도 그래서 다르고, 건물 생김새도 완전히 다르다. 

120년 역사를 간직한 이 계단은 중국과의 국교가 수립된 후 

새롭게 정비되어 계단 위쪽에는 청도에서 기증한 공자상이 세워졌다.

차이나타운과 제물포가 화교들의 집단 거주지였다면, 

중구청 주변은 일본인들이 모여 살던 일본조계의 중심 거리였다. 

새로운 건물이 많이 들어서 있기는 하나, 

일부 건물은 당시 그대로의 모습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어 인상적이다. 

'인천개항박물관' 역시 그 가운데 하나. 일본 제1 은행으로 지어진 이 건물은 

광복 이후 한국은행 인천지점으로 운영되어 오다가 

개항 당시 이 거리의 풍경을 소개하는 박물관으로 활용하고 있다. 

1883년 개항 후 인천항을 통해 처음 소개된 근대문물 가운데 

대표적인 것들을 전시해 관람객들에게 소개하고 있다.

중구청 앞 개항누리길 거리에 있는 인력거꾼 조형물엔 

사람들이 너도나도 다가가 사진을 찍을 만했다. 

인력거 또한 일본에서 들어온 문물이다. 

실물 크기로 만들었는데 특히 일본사람이 착용하던 

신발 '게다(일본 나막신)'까지 세심하게 표현해 웃음이 났다. 

일본인을 비하하는 단어 '쪽발이'도,  게다를 신는 것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나막신을 신으면 엄지발가락과 나머지 발가락들이 '쪼개지는' 것을, 

소나 돼지와 같이 발굽이 두 개로 갈라진 동물의 발(쪽발)에 빗댄 말이라고 한다.

인천 개항박물관은 후기 르네상스식 외관을 띠고 있다. 

여느 박물관과는 달리 친근한 물건이 많다. 

박물관에 따르면, 개항되기 전까지 우리는 불을 켜기 위해 부싯돌을 썼다고 한다. 

개항 후 인천을 통해 들어온 물건이 성냥이다. 

그래서 '인천'하면 성냥공장을 빼놓을 수 없다. 

당시 인천에 성냥공장이 번창했던 것은 

인천이 항구도시라는 특성상 값싼 노동력이 풍부했기 때문이다. 

압록강 일대의 나무들을 신의주를 거쳐 인천항으로 반입하여 

재료조달이 수월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당시에는 집들이나 개업선물로 성냥세트를 선물로 가져갔다고도 전해진다.

인천 개항장 근대건축전시관은 개항박물관보다 그 규모가 크진 않다. 

이곳 역시 일제의 일본 제18 은행으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아담한 전시장 내부에는 당시 이 거리를 따라 들어섰던 각종 건축물의 모형이 전시되어 있다. 

6·25전쟁과 이후 철거가 이루어지면서 대부분의 근대건축물이 남아 있진 않다. 

하지만 당시의 풍습을 박물관에서나마 만나볼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는 전시관이다. 

물론 이곳에 전시된 건축물 모형 중에서는 

현재까지도 그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건축물이 다수 존재한다. 

전시관을 둘러본 후 아직 남아있는 몇몇 건축물을 둘러보아도 좋다.

 공장, 창고건물에서 예술공간으로 변신한 인천아트플랫폼.


 주민들이 애용하는 정감가는 지름길, 홍예문길.


개항 후 갯벌을 메워 만들었던 물류창고, 공장이었던 곳이 
훌륭한 예술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바로 개항누리길의 명소 '인천 아트플랫폼'이다. 
인천 아트플랫폼은 옛 일본 우선주식 회사와 같은 근대 개항기 건물과 대한통운 창고, 
삼우인쇄소 등 1930~1940년대 건축물을 개축해 창작 스튜디오, 공방, 교육관, 전시장, 
공연장으로 변신시킨 복합문화예술 공간이다.

오래된 것들에게 새 생명을 부여하는 방법, 

구도심 재생의 바람직한 해법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되는 곳이다. 

지역예술인들의 작업장과 전시공간으로도 인기를 끌고 있는 인천 아트플랫폼은 

옛 인천의 현대적 변신을 상징한다.

인천 개항 당시 건물을 개조한 갤러리, 일본식 가옥, 카페 등도 눈길을 끌었다. 

그 가운데 인천시 유형 문화재이기도 한 카페 팥알은 

근대 일본의 점포주택 양식인 '마찌야(町家)' 형태로 지어진 건축물이다. 

1층은 사무소, 2·3층은 주거공간의 주택양식이다.

2012년 리모델링해 카페로 새롭게 변신한 이곳은 

일본 느낌이 물씬 풍기는 건물 자체만으로 이색적이다. 

19세기 말 근대 일본의 건축양식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모습이 남아있어 

근대 건축사 연구에서도 중요한 건물이라고 한다. 

일본에서 전해진 팥빙수와 카스텔라가 있고, 

2층과 3층에 마련된 다다미방도 이색적인 공간이었다.

인천 중구청에서 걸어서 채 10분이 걸리지 않는 곳에 있는 

홍예문 길 또한 파란만장한 한국 근대사의 굴곡을 간직하고 있다. 

홍예문은 인천항 지역과 동인천과 이어주는 지름길이자 연결 통로 역할을 해 왔다. 

화강암을 쪼아서 만든 돌문인 홍예문은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거주 영역을 넓히기 위해 세운 것이다. 

개항 당시, 인천 중앙동과 관동 등지에 모여 살던 일본인들이 

그 세력을 산 너머 만석동 등으로 확장하기 위해 만든 석문이다.

1990년대 아파트 단지들과 쇼핑센터들이 남동구에 생겨나면서 

구도심에 살던 시민들이 하나둘 떠나고, 

홍예문 주변을 떠받쳤던 시청 등 주요 시설들도 이전하면서 

홍예문 길도 100년 영화를 접게 됐다. 

많은 공공시설과 학교 등이 떠나갔지만 홍예문 길 주변에 남아 있는 가옥과 단독주택들, 

나이 먹은 가로수들과 무성한 담쟁이덩굴이 어울려 정감이 갔다. 

개항장 일대가 문화지구로 재정비되면서 이곳을 찾는 관광객들도 늘면서 

홍예문 길도 차츰 활력을 되찾고 있다.

 한국 성당 중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근대 건축물인 답동성당.


 공자상이 개항누리길과 인천항을 지긋히 바라보고 서있다.


19세기 말 개항과 함께 이곳에 들어온 일본인과 중국인 등 외국인들을 상대로 
고급 식자재를 파는 곳으로 시작됐던 신포시장 건너편 언덕배기 위엔 
답동성당(사적 제287호)이 우뚝 서 있다. 
로마네스크와 돔 형태 외관이 독특하고 아름답다.

명동성당보다 1년 앞선 1897년에 건립했고, 

한국 성당중에서 가장 오래된 서양식 근대 건축물이라고 한다.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6·25전쟁이라는 역사의 암흑기를 

마을주민, 천주교 신자들과 함께 견뎌낸 그야말로 역사의 산증인인 셈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서구식 공원으로 1988년 러시아의 토목기사 사마틴이 설계한 

자유공원(인천시 유형문화재 제51호)에서 인천 개항누리길을 마무리했다. 

응봉산 꼭대기에 있어선지 나무들이 많아 상쾌하고 바다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시원했다.

원래는 각국 공원, 또는 만국 공원이라 불렸다. 

그 후 일본조계를 중심으로 일본신사가 있는 동공원때문에 서공원이라 불렸다. 

그러다가 1957년 인천 상륙작전을 기념하기 위해 

맥아더 장군 동상을 건립하면서 자유 공원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해 저무는 자유 공원 아래 공자 할아버지 동상이 내려다보고 있었다. 

마치 중구 도심과 인천항, 월미도, 인천 앞바다가 손에 닿을 듯 가까이 보였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7 가족과 가볼만한 서울근교 계곡 6선 이기승(19) 2013.08.13 1159
1436 트로트 총정리(광복이후~1950년대) 이기승(19) 2014.02.21 1156
1435 겨울에 더욱 매력적인 전국의 유명한 호수들 이기승 2018.01.04 1148
1434 진안 ⑤ 맛길 투박하지만 진솔한 식당 이기승(19) 2014.03.09 1148
» 여기 한국 맞아요? 100년 역사가 담긴 지역, 인천 개항누리길 이기승 2015.11.24 1143
1432 버스정류장 이름이 '빨래터'.. 이런 동네도 있다 이기승(19) 2014.12.30 1140
1431 전국 기차역 여행센터장들이 추천하는 여름 기차여행 10선 이기승(19) 2014.07.22 1133
1430 넌센스 퀴즈 이기승 2017.01.13 1122
1429 서울에서도 즐기는 쫄깃한 맛좋은 어묵 이기승(19) 2015.01.04 1122
1428 맛있는 거리 / 경리단길 이기승(19) 2013.11.18 1122
1427 서울, 어디까지 가봤니..? 이기승(19) 2013.07.20 1120
1426 계절의 진미 강원도 막국수 투어 이기승(19) 2014.03.19 1118
1425 윤달에는 왜 결혼을 안 하는 걸까? 이기승(19) 2014.11.10 1114
1424 놀거리가 넘쳐나는 정동진 역 이기승(19) 2014.08.24 1112
1423 설레는 송구영신 '인천 해넘이·해맞이 명소 6선'..맛집은 '덤' 이기승 2015.12.29 1112
1422 DMZ 트레인 타고..최북단 도라산역에서 땅굴도 체험 이기승(19) 2014.10.02 1111
1421 곡성 가는 길 & 묵을 곳 & 먹을 것 이기승 2016.06.04 1106
1420 순천만서 한해 안녕 묻고 호미곶서 새해 안녕 빌다 이기승(19) 2013.12.22 1106
1419 포천 저물녘 민낯의 산정호수.. 이기승(19) 2013.07.13 1100
1418 산정호수로 떠나는 여름휴가, '한여름밤의 낭만' 이기승(19) 2013.07.15 109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6 Next
/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