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농문학상

선농문학상

조회 수 7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결혼한 상대방을 지칭하는 말로 영어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공식적인 단어는 스파우즈(spouse)다. 이 말의 어원인 라틴어 스폰수스(sponsus)를 보면 ‘구속하다, 엄숙히 약속하다’라는 의미다. 때문에 라틴어를 근간으로 하는 서양언어들의 배우자라는 단어들은 대개가 결혼 당사자 상호간에 어떤 형식으로든 권리와 의무를 진다는 법적 구속력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비해 베터하프(better-half)라는 말은 상당히 인간적이다. 서로 상대방을 나보다 나은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관계이니 참으로 따듯한 말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낫다’라는 말은 ‘보다 더 좋거나 앞서 있다’라는 의미가 전제되어야 하는 말이니 어느 한쪽이 낫다면 다른 한쪽은 기운다는 이야기도 될 수 있다. 때문에 둘 사이가 평등관계라고 보기는 어렵지 않은가 하는 생각이 든다. 다만 서로가 상대를 나보다 낫다고 여김으로서 평형을 이루고 있으나 자칫 아슬아슬해 보인다.

 

한자로는 배우자(配偶者)라고 한다. 배(配)는 술항아리(酉)를 받들고 무릎을 굽힌 모양이니 혼례식에서 신랑 신부가 술잔을 들고 맞절하는 모습이다. 우(偶)에 보이는 우(禺)는 긴꼬리원숭이를 가리킨다. 긴꼬리원숭이는 옛 사람들이 흉내 잘 내는 동물로 꼽은 짐승이다. 흉내를 낸다는 것은 흉내의 대상이 마음에 들어서이니 서로 좋아한다는 말에 다름 아니겠다. 그러니 배우자는 서로 흉내 내려는 두 사람이 술잔을 들고 의식을 치루는 모습이다. 서로 닮고 싶다는 마음도 엿보이지만 서양과 마찬가지로 형식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그에 비해 반려자(伴侶者)는 의미가 좀 다르다. 반(伴)은 소머리를 가운데서 자른 모양이고 려(侶)는 등뼈가 이어진 모습이니 반려자라고 하면 등뼈처럼 붙어 있으면서 나와 너 어느 쪽으로도 기울지 않는 반쪽을 말한다. 여기에는 제도나 예식의 개념 없이 다만 평등하면서도 긴밀한 관계만 보인다. 이처럼 남녀를 동등한 입장에서 바라 본 흔적이 남존여비 사상이 대세였으리라 생각되는 시대에 만들어진 것이 놀랍다. 다만 반려자에는 물리적인 형상만 보일 뿐 감성이 들어 있지 않은 느낌이 드는 것이 조금 꺼림칙하다.

 

그런데 우리말 ‘짝’은 참으로 특이하다. 우리 선조들은 무언가를 만들 때 짝을 맞추는 방법으로 형태를 완성시켰다. 옛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끼움법이나 짜임기법을 보면 나무 양쪽의 모양이 같은 경우가 없다. 한쪽이 나오면 다른 한쪽은 들어가고 한쪽이 우로 기울면 다른 한쪽은 좌로 기울었다. 생김새가 서로 다르지만 서로 꼭 필요한 존재고 거기에는 어느 쪽이 다른 한 쪽보다 더 낫다 못하다는 개념이 애당초 존재하지 않았다. 볼트 너트의 경우도 짝이 맞아야 구실을 한다. 어느 한 쪽이 더 낫다는 개념이 없다. 더 낫다는 개념은 같은 것에만 적용된다. 더 단단한 볼트, 더 저렴한 볼트 등은 있을 수 있지만 너트보다 나은 볼트라는 말은 성립하지 않는다.

 

우리 선조들은 이처럼 애당초 두 개의 서로 다른 개체가 하나의 완성체를 만드는 그 각각을 ‘짝’으로 이름 지었다. 짝은 짝을 이룬 그 자체를 가리키면서 동시에 그 짝을 이루는 각각도 가리킨다. 즉 개체이면서 동시에 전체를 뜻하는 말이다. 이렇게 쓰인 짝이 사람에 이르면 과연 흠 잡을 데 없는 말이 된다. 서로 누가 더 나을 것도 없고 무엇에도 구애 받지 않고 서로가 서로에게 완성체를 이루기 위해 꼭 필요한 유일한 존재니 이보다 더한 말이 어디 있겠나 싶다.

 

서구에서는 진작부터 문제가 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도 이혼율이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상대방을 ‘짝’이 아니라 단순히 스파우즈나 배우자, 아니면 ‘베터 하프’로 생각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 아닌가 싶다. 스파우즈나 배우자는 법으로 맺어졌으니 법을 통해, 베터 하프는 애당초 한쪽이 기울었으니 언제든 갈라질 수 있겠다. 그러나 ‘짝’은 가치와 법, 종류와 형태를 초월한, 어떠한 조건도 개입 할 수 없는 말이다. 유일한 조건이라면 서로 상대방에게 맞아야한다는 것뿐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짝이 어찌 갈라질 수 있는가? 만일 결혼한 짝이 헤어짐에 임해 여전히 각각 쓰임새와 존재가치가 있다고 한다면 그 둘은 애당초 짝이 아니었음이다.

 

결혼을 앞둔 남녀나 결혼을 한 남녀라면 상대방을 배우자나 스파우즈, 베터하프가 아닌 ‘짝’으로 생각하고 있는 지, 서로가 서로에게 ‘짝’이기에 어긋남이 없는 지 한번 생각해 보았으면 싶다. 짝이 갈라지면 집이 해체되기에 하는 말이다.


  1. 오현세(19회) 짝 선농문학상

    Date2021.03.02 By사무처 Views72
    Read More
  2. 17회 이일희 - 시조 '나부'

    Date2021.02.26 By사무처 Views55
    Read More
  3. 17회 이강선 - 시 '그냥'

    Date2021.02.24 By사무처 Views124
    Read More
  4. 17회 이일희 - 시조 '물새소리'

    Date2021.02.24 By사무처 Views62
    Read More
  5. 이분용(27) 바람이 불어

    Date2021.02.22 By사무처 Views45
    Read More
  6. 17회 이일희 - 시조 '그리움'

    Date2021.02.22 By사무처 Views58
    Read More
  7. 김종성(19회) 틈새

    Date2021.02.22 By사무처 Views93
    Read More
  8. 편지 이분용(27)

    Date2021.02.19 By사무처 Views56
    Read More
  9. 이분용(27) 고백

    Date2021.02.18 By사무처 Views54
    Read More
  10. 이분용(27) 바람처럼 자유롭게

    Date2021.02.17 By사무처 Views64
    Read More
  11. 17회 이강선 - 여자의 일생 (촌노)

    Date2021.02.15 By사무처 Views322
    Read More
  12. 김진혁(27회) 어떻게 늙을 것인가?

    Date2021.02.14 By김진혁 Views72
    Read More
  13. 제59호 2020 하반기 과천문학-제29회 '율목문학상' 수상자 특집* 수상작품 (능금 파는 두 소녀) -10회 김현순

    Date2021.02.08 By사무처 Views90
    Read More
  14. 17회 이강선 - 버킷리스트 (스킨스쿠버)

    Date2021.01.26 By사무처 Views295
    Read More
  15. 17회 이강선 - 버킷리스트 (패러글라이딩)

    Date2021.01.21 By사무처 Views285
    Read More
  16. 17회 이강선 - 행복 (일상2)

    Date2021.01.13 By사무처 Views309
    Read More
  17. 17회 이강선 - '시골뜨기 서울입성'

    Date2021.01.07 By사무처 Views398
    Read More
  18. 17회 이강선 - 2021.1.2 (일상1)

    Date2021.01.05 By사무처 Views39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