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동문소식

조회 수 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금요칼럼]분단 강원도와 창의통일

허문영 평화한국 대표 숭실대 겸임교수

 

출처: 강원일보 4.10

     

2020-4-10 ( 19면

       
     
 
 
역시 대한민국! `위기극복의 DNA'를 갖고 있는 게 분명하다. 전 세계를 위협하는 코로나19도 잘 극복하고 있다. `빨리빨리'의 민족적 신속성과 질병관리본부 및 의료진의 헌신성, 성숙한 시민회의 합리성이 한 몫 하는 모습이다. 사실 우리 대한민국은 이런 방식으로 1945년 광복 이후 20년마다 주어진 시대적 과제도 세계를 놀라게 할 만큼 해결해 왔다. 건국과 호국, 산업화와 민주화. 그런데 통일 앞에서는 멈춰 서고 있다. 아니 세계적 흐름에 뒤처지고 있다. 다시 한번 통일의 길을 생각해 보자.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다섯 나라가 분단됐다. 유럽에서는 전범국 독일이, 아시아에서는 일본 대신 식민지 한국과 베트남이 나뉘었다. 일본의 간계와 강대국(미국, 프랑스, 소련) 간의 세계전략 충돌이 영향을 미쳤다. 중화민국은 내전 끝에 1949년 10월 중화인민공화국(본토) 출범으로, 예멘은 1967년 11월 영국으로부터 남예멘이 독립하면서 갈라졌다. 베트남, 독일, 예멘 세 나라가 통일했다. 중국은 인적 왕래와 교류 협력으로 일국양제 통일을 추진하고 있다. 한민족만 여전히 극단적 분단에서 못 벗어나고 있다.

베트남은 1975년 `무력으로 공산통일'했다. 후유증은 심각했다. 국토의 황폐화, 생산시설의 파괴, 막대한 인명피해와 더불어 적대감과 통제와 빈곤이 만연했다.

독일은 1990년 `합의로 편입통일'을 이뤘다. 분단기간 서독은 통일을 강조하지 않았다. 통일국가만 되면 세계를 참화로 이끌었던 전력 때문이다. 해서 평화를 강조하는 `제2인자 외교(No. 2 Diplomacy)를 통해 주변 국가와 우호적 신뢰관계를 만들고 지속적 교류 협력으로 동독주민의 `친서독화'를 이뤄내 평화통일을 달성했다. 그러나 이후 통합 과정에서 문제가 드러났다. 정치통합은 1년 내, 경제통합도 10여년에 걸쳐 계획대로 성과 있게 이뤄졌다. 그러나 사회통합은 30년이 됐는데도 여전히 30년이 더 걸릴 전망이다.

예멘은 `합의통일(1989년) 후 내전과 재통일(1994년)' 방식으로 이뤄졌다. 남북예멘 지도부는 저항세력의 반발을 우려해 통일협상을 비공개하고 빠른 통일을 단행했다. 그러나 통합과정 불만세력들에 의해 다시 혼란을 겪게 됐다. 내전을 통해 북예멘이 승리함으로써 재통일됐다.

그러면 우리의 통일방식은 어떻게 돼야 할까? 다른 나라 사례는 반면교사, 타산지석이다. 무력통일이 아닌 평화통일로, 일방적 편입통일이 아닌 쌍방적 합의통일로, 지도부만에 의한 통일이 아닌 국민적 통일로 돼야 함을 배울 수 있다. 그리고 합의통일에 있어서도 그 수순은 정치→경제→사회·문화 통일이 아닌 문화·사회→경제→정치 통일 순이 바람직하다. 선 국가통일, 후 국민통합 방식이 아니라 선 국민통합, 후 국가통일 방식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분단강원도가 시작하는 창의통일이 되기를 기대한다. 지난 75년 동안 중앙정부 차원에서 정말 다양한 통일 노력이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무산됐다. 이제 지방정부 차원에서 창의적 접근과 해결 노력이 필요하다. `고성평화특별자치시' 건설에의 노력과 북강원도 주민을 위한 코로나19 진단키트 인도지원은 선도적 사례가 될 수 있다. 21세기는 글로컬(글로벌+로컬:세계+지방) 시대다. 동족상잔 6·25전쟁 70년에 남북강원도가 화해와 협력의 새 길을 열어 나갈 때, 코로나19로 어려운 온 나라와 전 세계에 새로운 희망을 보여주는 역사가 시작될 것이다.
 

  1. 차두원(41회) 이동의 미래, 모빌리티 산업의 현재와 미래

    Date2020.04.27 By사무처 Views125
    Read More
  2. 권오용(26회) 정몽규와 현대정신

    Date2020.04.27 By사무처 Views40
    Read More
  3. 김진혁(27회) 죽기 전에 리러가 읽어야 할 고전 ,메가트렌드 2010

    Date2020.04.27 By사무처 Views32
    Read More
  4. 허문영(27회) 분단 강원도와 창의통일

    Date2020.04.20 By사무처 Views53
    Read More
  5. 김서중 민언련 새 공동대표 “언론 운동의 좌표 설정할 것”[이영광의 발로 GO 인터뷰 482] 김서중 민언련 공동대표

    Date2020.04.20 By사무처 Views104
    Read More
  6. 강상빈(19회) 생애와 사상 17편

    Date2020.04.20 By사무처 Views25
    Read More
  7. 김진혁(27회) 죽기 전에 읽어야 할 고전, 사기

    Date2020.04.20 By사무처 Views29
    Read More
  8. 권오용(26회) 국민의 불평은 혁신의 씨앗

    Date2020.04.20 By사무처 Views16
    Read More
  9. 성기학(17회) 영원무역, 코로나에도 선방

    Date2020.04.14 By선농문화포럼 Views38
    Read More
  10. 전광우(18회) 세계 경제 읽기_조선일보 2020.4.13字

    Date2020.04.13 By선농문화포럼 Views72
    Read More
  11. 이성철(36회) 칼럼 제 2의 연어 프로젝트를 준비할 때다

    Date2020.04.13 By사무처 Views32
    Read More
  12. 김해은(31회) 국가가 '리바이어던 ' 돼야 하는 이유

    Date2020.04.13 By사무처 Views36
    Read More
  13. 김진혁(27회)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다

    Date2020.04.13 By사무처 Views50
    Read More
  14. 중앙지법 명재권 부장판사(36회) - 일반 민사 본안재판부 부장판사로 보직 변경

    Date2020.04.09 By사무처 Views99
    Read More
  15. 윤계섭(15회) 증권시장. 코로나 패닉 극복하려면

    Date2020.04.08 By사무처 Views22
    Read More
  16. (21대 국회의원 선거) 도봉갑 선거구 미래통합당 김재섭 동문(58회)

    Date2020.04.07 By사무처 Views104
    Read More
  17. 김기명(27회) 글로벌 세아 대표, "세아, 의류 넘어 포장지"

    Date2020.04.06 By사무처 Views203
    Read More
  18. 이광형(25회) 미래변화 7대 요소로 본 코로나19 이후 세상

    Date2020.04.06 By사무처 Views50
    Read More
  19. 강상빈(19회) 생애와 사상 15편

    Date2020.04.06 By사무처 Views22
    Read More
  20. 이종훈(35회) 최고의 품질 손 소독제 개발

    Date2020.04.06 By사무처 Views4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143 Next
/ 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