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문소식

동문소식

조회 수 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정책선거는 기대도 않지만

출처:한국일보

 

말로는 정책대결 외치지만 실제론 늘 뒷전
이번 대선도 초반부터 정책대결은 실종
망국적 집값 문제만은 확실한 해법 밝혀야
 
 
94898545-9f22-49c1-b91f-12737c3305b0.jpg

 

 
다들 정책선거 하자, 이젠 네거티브 그만하고 정책대결로 가자고 얘기하지만, 솔직히 그게 가능한 일일까. 정책을 보고 대통령을 선택하는 유권자가 과연 몇이나 될까. 정책이 탁월해서 대통령에 당선된 예가 있기는 했나. 멀리 갈 것도 없이 문재인 대통령을 보자. 소득주도성장이나 문케어, 탈원전 같은 정책공약 때문에 현 정부가 탄생한 건 아니다. 박근혜정권 탄핵 이후 절정에 달한 정권교체 열망이 강력한 '상수'였고, 그 위에 '구도'(보수 다자대결)가 더해지면서 2012년의 패배가 2017년엔 승리로 바뀐 것이다. 이명박·박근혜정부의 탄생도 다르지 않다. 진보정권 10년의 피로감 위에 샐러리맨 신화의 이명박이라면 경제만큼은 확실하게 살릴 것이란 기대가 더해지면서 그를 대통령으로 만든 것이지, 4대강과 같은 정책들이 매력적이어서는 아니었다. 박근혜 대통령의 당선도 정책과는 거리가 멀다. '창조경제' 같은 구호 말고, 과연 그의 정책공약 중에 지금까지 기억나는 게 하나라도 있나. 더 거슬러가면, 김대중·노무현정부의 탄생도 일등공신은 정책이 아니라 후보 단일화였다.
 
구도나 메시지에 비해 정책이 선거에서 주목받지 못하는 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기본적으로 하늘 아래 새로운 정책이란 존재하기 힘들다. 깜짝 놀랄 획기적 정책이라면 아마도 비현실적이거나, 포퓰리스틱하거나 둘 중 하나일 것이다. 그러다보니 증세와 감세, 탈원전, 무상○○처럼 가치와 이념이 선명한 이슈가 아닌 한, 후보들의 정책은 포장만 다를 뿐 뜯어보면 내용은 비슷비슷하다.  
 
특히 집권 후 실제 정책들은 보수정권이든 진보정권이든 차별화보다는 중도로 수렴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박근혜정부가 시행했던 20만 원 기초노령연금은 진보정부가 추진했다고 해도 이상할 게 없는 정책이었다. 이명박정부가 진행했던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은 내용상 대기업을 압박하는 부분이 많았기 때문에 진보정권에 더 어울리는 정책이었다. 반대로 노무현정부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추진은 오히려 보수정부에서나 할 법한 정책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은 중요하다. 구도와 메시지, 정치공학으로 청와대 입성까지는 가능할지 모르지만, 정권의 성패는 결국 정책으로 판가름난다. 정권의 부패나 내로남불식 행태는 국민들을 실망시키고 화나게 하는 정도지만, 정책의 실패는 실질적 고통으로 이어진다. 
 
대선까지 이제 8개월이다. 전례없이 다이내믹한 레이스가 시작됐지만, 예상대로 아니 예상 이상으로 정책은 실종되고 말았다. 여당 후보들은 세 차례나 공개 토론을 벌였음에도, 정책공방은 싱겁기만 했다. 삼성전자나 애플이 비장의 신제품 스마트폰을 공개하는 '언팩(Unpack)' 행사를 본떠 '정책 언팩쇼'까지 했는데, 정작 풀어 놓은 보따리 안에 기억나는 정책은 하나도 없었다. 선두 이재명 후보는 싸워봤자 손해라고 생각했는지, 대표정책인 기본소득에 대해 뒤로 빠지는 모양새다. 야권의 윤석열 후보는 자유 공정 정의 같은 구름잡는 얘기만 할 뿐, 정책은 입에 올리지조차 않는다.
분야를 망라한 수준 높은 정책토론은 기대하지도 않는다. 그래도 한 가지, 이 망국적 집값 문제를 어찌할 것인지는 꼭 듣고 싶다. 주택가격은 문재인정부가 서민과 청년들에게 진 가장 큰 죄다. 집값 때문에 수많은 젊은이들이 꿈과 희망을 접었다. 청년들의 미래가 없는데, 가정과 사회에 미래가 있을 수 있나. 아무리 모아도 전셋집 하나 구할 수 없는 청년들에게 자유와 공정이 무슨 소용이며, 한 달 집세도 안 되는 기본소득은 또 무슨 소용일까.
 
뾰족한 해답이 없을 것이다. 그래도 대통령을 꿈꾸면서 이 절박한 문제를 피해 가는 건 비겁한 일이다
 
.이성철 콘텐츠본부장

  1. 정서호(35회) 불쌍한 한부모 가정?

    Date2021.08.12 By사무처 Views79
    Read More
  2. 김해은(31회) 퍼비딘은 두려움 모르는 무모한 군인 만들뿐

    Date2021.08.11 By사무처 Views59
    Read More
  3. 김진혁(27회)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

    Date2021.08.11 By사무처 Views80
    Read More
  4. 권오용(26회) 원칙과 소통한 현대차의 트리플 크라운

    Date2021.08.10 By사무처 Views35
    Read More
  5. 강창희(18회) 한국에선 똘똘한 아파트 1채로도 노후대비 안되는 이유

    Date2021.08.07 By사무처 Views58
    Read More
  6. 이규용(23회) 13개 백화점 상반기 핸드백 매출 완만한 회복세

    Date2021.08.07 By사무처 Views66
    Read More
  7. 김기명(27회) 글로벌세아 대표 , 사업다각화로 지속 성장 체계 확립

    Date2021.08.07 By사무처 Views122
    Read More
  8. 김태련(8회) 인구와 미래정책연구원장 "예술을 통한 행복한 가정 만들기" 업무협약 체결

    Date2021.08.07 By사무처 Views83
    Read More
  9. 이해민(13회) 백신 먹통 해결사 베스핀 글로벌

    Date2021.08.05 By사무처 Views101
    Read More
  10. 정병조(17회) 불교신문 창간 61주년 특별기획

    Date2021.08.02 By사무처 Views66
    Read More
  11. 신현균(17회) 대현 온라인 여성복 '데카브' 확장

    Date2021.08.02 By사무처 Views74
    Read More
  12. 박현채(18회) 완전히 빗나간 코로나 19 방역

    Date2021.08.02 By사무처 Views11
    Read More
  13. 이광형(25회) 의과학자 양성 제2 코로나 사태 막겠다.

    Date2021.08.02 By사무처 Views80
    Read More
  14. 김성한(31회) 한반도가 미중 대결의 약한 고리 되지 않게해야

    Date2021.07.30 By사무처 Views26
    Read More
  15. 강창희(18회) 나이들수록 금융자산 비율 높여라

    Date2021.07.28 By사무처 Views222
    Read More
  16. 김해은(31회) 금을 돌보듯 해아- 규석기 시대

    Date2021.07.27 By사무처 Views79
    Read More
  17. 장수 시대, 보험의 역할 - 신용길(23회) / 거창신씨 종보에서 펌

    Date2021.07.26 By사무처 Views19
    Read More
  18. 이광형(25회) 초중고 정보교육 늘려 인간 AI 공존할 미래 대비해야

    Date2021.07.25 By사무처 Views25
    Read More
  19. 이성철(36회) 정책선거는 기대도 않지만

    Date2021.07.25 By사무처 Views29
    Read More
  20. 시가 10조원, 이건희 컬렉션 일반공개

    Date2021.07.21 By사무처 Views6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143 Next
/ 143